뉴트로 열풍! 성공한 브랜드 마케팅 시리즈 : 2
🍪 식품 업계의 뉴트로 마케팅 사례 분석 — ‘맛’과 ‘추억’의 재탄생
뉴트로(Newtro) 열풍은 식품 산업 전반에서도 강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1980~90년대의 패키지 디자인, 상품명, 맛, 광고 콘셉트 등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마케팅 전략이 소비자에게 폭발적인 반응을 얻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식음료 업계에서 뉴트로 감성을 통해 브랜드의 이미지를 성공적으로 재창조한 다양한 사례들과 함께, 그 배경과 전략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뉴트로 식품 마케팅이 유독 성공하는 이유
🔹 감성 소비를 중시하는 MZ세대의 특징
MZ세대는 단순한 상품 구매보다 "브랜드 스토리"와 "경험"을 중요시합니다. 뉴트로 마케팅은 제품 하나하나에 감성적인 요소를 입히며, 이들의 정서와 공감대를 자극합니다.
🔹 SNS 콘텐츠로의 확장 용이성
레트로한 포장 디자인, 독특한 제품 콘셉트는 소비자에게 'SNS 인증 욕구'를 불러일으킵니다. 식음료 제품은 사진 촬영과 해시태그 공유가 쉽기 때문에 빠르게 확산됩니다.
🔹 낮은 진입장벽, 높은 반응도
복고 감성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정서적 공통분모이기 때문에, 특정 연령층을 초월한 전 세대 공감 콘텐츠로 작용합니다.
🥤 대표적인 뉴트로 성공 사례
1️⃣ "곰표" 브랜드의 반전 매력: 밀가루 → 맥주 → 팝콘까지
- 배경: 70년 역사의 밀가루 브랜드 '곰표'가 2020년 CU와 손잡고 출시한 콜라보 제품 ‘곰표 맥주’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품절 대란을 일으켰습니다.
- 전략 포인트:
- 친숙한 로고와 밀가루 패키지를 그대로 사용한 복고 감성
- “의외의 컬래버”라는 반전 요소로 소비자 흥미 유발
- SNS에서의 자발적 콘텐츠 생산 유도 (인증샷 유행)
곰표는 이후 맥주 외에도 팝콘, 티셔츠, 문구류 등으로 확장, 브랜드를 하나의 문화 콘텐츠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2️⃣ 롯데제과: 추억의 아이스크림 ‘죠스바’와 ‘수박바’의 귀환
- 레트로 패키지 리뉴얼: 1980~90년대 출시 당시의 원형 디자인을 복원하면서 소비자에게 추억을 자극.
- 타깃 확장: 기존 중장년층 소비자는 물론, 복고 감성에 열광하는 MZ세대에게도 먹히는 전략.
- SNS 활용: “요즘 죠스바 다시 나왔대!”와 같은 키워드로 트위터, 인스타그램에서 화제.
실제로 리뉴얼 이후 ‘죠스바’의 2023년 여름 시즌 판매량은 전년 대비 40% 이상 증가.
3️⃣ 빙그레의 ‘빙그레우스’ 캐릭터 마케팅
- 브랜드 세계관 구축: 빙그레는 자사 제품들을 왕국의 캐릭터로 의인화한 ‘빙그레 왕국 세계관’을 구축하며, 뉴트로적 상상력을 입혔습니다.
- SNS와 웹툰을 결합한 마케팅: 트렌디하면서도 정감 가는 콘텐츠로 MZ세대에게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냈습니다.
- 제품 연계도 탁월: 세계관 내 캐릭터들이 실제 제품으로 연결되어, 브랜드 몰입도를 높였습니다.
🍫 전통 간식의 뉴트로 변신 사례
제품명 과거 이미지 뉴트로 전략 반응
오리온 '초코파이情' | 어른 간식 이미지 | 손 편지 콘셉트, 한정판 감성 포장 | 젊은 세대에게도 인기 |
해태 '홈런볼' | 단순 초코과자 | 복고풍 컬러 복원, 리미티드 에디션 출시 | SNS에서 화제 |
농심 '새우깡' | 중장년층 과자 | 힙한 포스터, 컬래버 스니커즈 출시 | 전 세대 공감 획득 |
🏪 뉴트로 X 편의점 = 콜라보의 시너지
CU, GS25,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 업계도 뉴트로 상품을 속속 내놓고 있습니다.
- CU x 해태 ‘후렌치파이 아이스크림’ : 과거의 파이 맛을 아이스크림으로 재탄생시킨 이 제품은 출시 일주일 만에 품절되며 입소문을 타고 재생산에 돌입했습니다.
- GS25 x 불닭 ‘90년대 컵라면 복각 버전’ : 디자인뿐 아니라 조리법까지 복고식으로 구성해 큰 반응을 얻었습니다.
이처럼 편의점은 뉴트로 제품의 ‘실험실’로 기능하며 브랜드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수행 중입니다.
📈 마케팅 전략적으로 본 뉴트로 식품 사례의 특징
- 감성 자극형 콘텐츠 → "추억 + 놀라움"의 조합으로 주목도 상승
- SNS 공유 욕구 자극 → 소비자가 마케팅의 주체로 활동
- 짧고 강한 컬래버 → 신선함 유지와 동시에 재생산 가능성 확보
- 비주얼 우선 전략 → 패키지 자체가 콘텐츠 역할 수행
🎯 식품 기업에게 주는 인사이트
✅ 단순 복고가 아닌 현대 감각의 접목이 필수
→ 맛뿐 아니라 디자인, 스토리, 광고까지 통합된 경험 제공이 핵심입니다.
✅ ‘기억에 남는 경험’ 제공
→ 뉴트로는 브랜드 인지도보다 감정적 기억이 오래 남는 전략입니다.
✅ 실험적인 협업을 두려워하지 말 것
→ 예상 밖의 브랜드 간 콜라보는 SNS에서 이슈몰이를 이끌 수 있습니다.
✅ 마무리: 뉴트로 식품 마케팅의 핵심 정리
- 식품 업계는 ‘맛’과 ‘기억’이라는 강력한 무기를 바탕으로 뉴트로 마케팅을 적극 펼치고 있습니다.
- 이는 단순 유행이 아닌, 브랜드 리포지셔닝의 기회이자 MZ세대에게 접근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전략입니다.
- 특히 복고 감성을 넘어선 현대적 재해석과 콘텐츠화된 경험이 관건입니다.
👉 다음 글에서는 패션 업계의 뉴트로 마케팅 성공 사례를 소개합니다. 트렌디한 감성과 브랜드 전략이 만나는 순간을 기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