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쉬운 경제

앞으로의 시나리오와 우리에게 필요한 준비

policyinsightkorea 2025. 4. 10. 09:26
반응형

2025년 4월 9일 현재,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심화되면서 한국 정부는 자국 경제와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 시리즈의 다섯 번째 편에서는 한국 정부의 주요 대응 조치와 그 효과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미국의 관세 부과와 한국의 대응

미국의 관세 조치

미국은 2025년 4월 2일, 한국을 포함한 주요 무역 파트너 국가들에 대해 '상호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한국산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는 25%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며, 이는 한국의 수출 산업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한국 정부의 대응

한국 정부는 이러한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응하여 다음과 같은 조치를 발표하였습니다:

  • 자동차 산업 긴급 지원: 자동차 산업에 대한 금융 지원을 기존 13조 원에서 15조 원으로 확대하고, 자동차 구매 시 특별소비세를 5%에서 3.5%로 인하하여 내수 시장을 활성화하고자 합니다.
  • 신흥 시장 개척 지원: '글로벌 사우스'로 불리는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아시아의 개발도상국 시장 진출을 지원하여 수출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미국과의 협상 추진: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한국이 다른 동맹국들과 비교하여 불리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2. 자동차 산업에 대한 긴급 지원 조치

특별소비세 인하

한국 정부는 자동차 구매 시 특별소비세를 기존 5%에서 3.5%로 인하하여 소비자들의 부담을 줄이고, 이를 통해 내수 시장을 활성화하고자 합니다. 이 조치는 2025년 6월까지 적용될 예정입니다.

전기차 보조금 확대

전기차 구매 시 제공되는 보조금을 기존의 20~40%에서 30~80%로 확대하고, 지원 기간을 2025년 말까지 연장하여 친환경 자동차의 보급을 촉진하고자 합니다.


3. 신흥 시장 개척을 위한 전략

한국 정부는 미국과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신흥 시장 개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아시아의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수출 확대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수출 시장의 다변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4. 미국과의 협상 및 외교적 노력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관세 부과에 대한 완화 또는 면제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고위급 대표단을 미국에 파견하여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한국이 다른 동맹국들과 비교하여 불리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5. 결론

미중 무역 갈등의 심화로 인해 한국 경제는 다양한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자동차 산업 지원, 신흥 시장 개척, 미국과의 협상 등 다양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들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그리고 국민들의 협력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