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2025년 대입 개편안 시리즈 5편 - "수시냐 정시냐, 최종 전략은?"

policyinsightkorea 2025. 4. 9. 13:48
반응형

대입 흐름 속 선택기준 정리

 

 

🧭 들어가며: “수시와 정시, 어떤 게 더 유리할까요?”

2025 대입 개편을 앞두고 학부모와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은 
바로 **“우리 아이는 수시로 가야 할까, 정시로 가야 할까?”**입니다.

  • 정시 확대 흐름은 여전하고,
  • 수시는 세특 간소화로 경쟁력이 줄어드는 듯하면서도
  • 여전히 많은 대학이 수시 비중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 수시와 정시의 구조와 최근 흐름
✔ 대입 전형별 장단점
✔ 실전 전략 수립 팁
을 학년별로 제시해드립니다.


📋 1. 수시 vs 정시, 구조 다시 보기

구분수시정시
전형 방식 학생부(내신), 교과·종합전형 수능 100% 또는 수능 + 실기
평가 시점 3학년 1학기까지의 생활기록부 수능 이후 한 번에 결정
지원 횟수 6개 대학까지 가능 (중복 불가) 제한 없음 (군별 지원)
장점 준비 기간 길고 안정적 성적이 나오면 뒤집기 가능
단점 내신 관리 어려움, 교과 제한 수능 한 번에 모든 게 결정됨

 


🔍 2. 최근 대입 흐름 요약

✅ 수시

  • 여전히 전체 모집의 70% 내외 유지
  • 학생부교과 + 학생부종합 중심
  • 세특 간소화 → 평가 요소 축소

✅ 정시

  • 정시 확대 흐름 유지
  • 서울 주요 대학 평균 정시 비율 약 40%
  • 일부 상위권 대학은 50% 이상 정시 모집

 


🧠 3. 학년별 대입 전략 방향

학년전형 전략추천 유형
고1 내신 집중, 세특 기반 활동 유지 수시 교과·종합 전형 대비
고2 모의고사 점수 반영 시작, 교과 연계 활동 정리 수시/정시 병행
고3 모의고사 성적 확인 후 최종 판단 상위권: 정시, 중위권: 수시+적성

✍️ 4. 전형별 주요 특징과 고려사항

📘 수시전형 상세

교과전형

  • 내신 성적 우수자 중심
  • 일부 대학 면접 실시
  • 비교과 영향 ↓

종합전형

  • 내신 + 세특 + 활동 기록 종합
  • 자기소개서 점차 폐지
  • 교과 중심 평가로 축소 가능성 있음

 


📕 정시전형 상세

  • 수능 100% or 수능 + 면접
  • 실기전형(예체능, 체육) 포함
  • 최근 영어 절대평가 → 탐구 과목 변별력 ↑

특징

항목의미
수능 강세형에게 유리 짧은 시간에 뒤집을 수 있음
학원·사교육 집중 가능 반복학습 구조에 익숙한 학생 적합
지역·계층 불균형 우려 정보력·자원 격차 문제 여전

📌 실전 적용 전략: 상황별 전형 선택 가이드

유형특징추천 전형
내신 상위권 + 꾸준한 활동형 교과/종합 모두 가능 수시 중심
수능 성향 뚜렷한 반전형 모의고사 점수 안정 정시 중심
실기·특기 학생 예체능, 체육 실기 중심 수시 or 정시
중간권 다변화형 전략적 학교·학과 지원 수시+정시 병행 (수능 최저 고려)

🧾 5. 수시/정시 병행 전략이 필요한 이유

  • 6월·9월 모의고사 점수로 정시 가능성 판단
  • 수시 원서 접수 → 9월
  • 수능 → 11월
  • 수시 낙방 → 정시 도전 가능성 확보

 


🎯 전략 수립을 위한 3단계 점검

  1. 내신/모의고사 데이터 확보
  2. 희망 학과·학교 반영 방식 확인 (수시/정시 비중)
  3. 정시 수능 과목 조합 확정 → 수능 선택과목 준비

🧠 전문가 조언

🧑‍🏫 입시 컨설턴트:

“학생부가 간소화되었다고 수시가 사라지는 건 아닙니다. 교과 중심 평가가 오히려 정제되어 갈 뿐입니다.”

🧑‍💼 학부모상담교사:

“모의고사 성적은 ‘정시의 신호’일 뿐, 꾸준한 교과 성적 관리가 가장 중요한 전략입니다.”


✅ 초보자 요약 정리

포인트의미
수시 내신 + 세특 활동 필요, 전체 비중 많음
정시 수능 한 방, 역전 가능성 존재
병행 전략 가장 현실적 접근 방법
전형 선택 아이의 성향 + 자료의 준비 상태로 결정

⏭️ 이 시리즈 정리하며…

5편을 끝으로, 2025 대입 개편 시리즈를 마무리합니다.
변화는 피할 수 없지만, 정확한 정보와 전략적 접근이 결국 격차를 만들 수 있습니다.